목록AWS (2)
Front-end Develope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jT2KJ/btq5hksOoMB/B4R41pvrvAp1386i7t5hKk/img.png)
이미 S3와 Route53를 이용해서 사이트에 도메인을 설정하셨다는 가정하에 설명하겠습니다!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볼께요! 1. 먼저 Certificate Manager에 들어가세요! 2. 지역을 꼭! 버지니아 북부로 설정하셔야합니다! 안그러면 cloudfront에서 인증서 발급이 안됩니다. 3. 도메인 이름을 추가해주세요! 4. DNS 검증을 선택해주세요. 5. 태그는 어떤 용도인지 잘 모르겠어요.. 안 설정해도 전혀 문제 없었습니다. 6. Route 53(파란색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Route53과 연동되있으면 따로 CNAME을 설정안해도 버튼한번이면 다 세팅이됩니다!(개꿀?!) 7. CloudFront에 들어가주세요 그리고 Create Distribution(파란색 버튼)을 눌러주세요! 8...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haLVZ/btqXBXl6Y7x/IgdzKn3rVNg5N74kz9b8qk/img.png)
웹 서비스 런칭을 위해서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항상 응답할 수 있는 서버를 구축시켜야한다. 개인 컴퓨터로도 서버를 구축시킬 수 있지만 컴퓨터가 계속 켜저 있어야하기 때문에 모두가 언제나 사용할 수 있게 하는게 쉽지가 않다. 그래서 보통 많은 사람들이 큰 회사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한다. 그중에서 제일 잘알려져 있는게 AWS(아마존 웹 서비스)이다. AWS(아마존 웹 서비스) AWS는 다른 사람들에게 항상 가동되고있는 컴퓨터를 빌려줌으로써 다른사람들이 그 컴퓨터에 자신들의 서버를 구축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AWS에서 컴퓨터를 빌리면 해당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는 IP 주소를 제공한다. AWS EC2 서버 구매 AWS EC2 서버를 구매해야되는데, EC2는 Elastic Compute Cloud의..